'배경'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1.29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알파채널 사용법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알파채널 사용법

오늘은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알파채널 사용법에 대해서 잠깐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디카든.. 스마트폰 카메라든 사진을 찍었는데 주위 배경이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요.

저역시도 마찬가지구요.

 

나를 찍었는데.. 뒤에 배경이 지저분하거나.. 찍혀서는 안될것들이 찍혔을때... 당황스럽죠 ;;;ㅋㅋ

또, 애인이나 가족이랑 놀러가서 사진을 찍었는데 제3자의 모습이 보인다면? 짜증나죠....

이런경우들 상당히 많습니다. ㅋㅋ

 

이렇게 씁슬하면서도 아쉬운 상황이 아니더라도 기발한 장난거리가 생각나서.. 또는 심심해서 사진합성 한번

해보려던 경험과 이미 해봤던 경험들 정도는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래서 포토샵 으로 사진 배경 없애기를 할때 알파채널 사용법에 대해서 공유를 하고자 합니다.

 

포토샵 알파채널 사용법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여러가지 방법들

1. 올가미툴 ( Lasso Tool )을 이용해서 없애고자 하는 배경들을 따라서 선택영역을 그려주는 방법입니다.

이작업은 약간 고수정도 레벨이 되야 가능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조금만 어긋나도 없애면 안될부위를 건드리게 되니 굉장히 원시적이면서도 조잡스러운 방법이 되기 쉬우면

후처치가 필요한 방법입니다.

 

2. 선택툴 ( Marquee Tool )을 이용해서 배경을 열심히 지우는 방법입니다.

이방법은 정교하게는 가능하지만 어마어마한 인내심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3. [Fillter] - [Extract]를 이용해서 없애는 방법입니다.

이방법은 편리하긴 하지만 정교함이 필요합니다.

 

4. 펜툴을 이용해서 경로를 지정한 다음에 선택영역으로 바꿔주는 방법입니다.

형태가 단순순한 피사체를 담고 있는 사진의 경우 상당히 좋은 방법입니다.

 

5. 알파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바로 지금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이방법은 복잡해서 펜툴이나 올가미툴로도 해결이 안되는데 명도차이가 분명한 이미지를 선택해서 하는데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모든 종류의 사진에 널리 적용되기는 힘들다고 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힘든 선택작업을 간단하게 해결해 줄 때가 있고

레이어 상태로는 만들어 낼 수 없는 형태를 만드는데도 사용되는 좋은 정보이니 알아두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포토샵 알파채널 이란 ?

포토샵의 레이어 탭을 보게 되면 layers, Channels, Paths 3개가 있습니다.

채널탭을 이동하면 채널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채널이란 간단하게 설명을 해서 이미지 레이어가 담고 있는 색상정보를 RGB로 분류해서 담고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RGB란 레드,그린,블루 3가지 색상을 말하는데, PC 색상은 빨간,녹색,파랑 3가지 색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포토샵에서 이렇게 나눠논것입니다.

 

 

 

이론에 대한 설명이 너무 길었죠?? ㅋㅋ 이제부터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사용할 배우 이미지로는 지아이조에 출현한 " 시에나 밀러 " 입니다.. ㅋㅋ 많이들 알거에요

일단, 밑에 사진을 보면서 Before & After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한 포토샵 버전은 CS3 영문판

 

이제부터 포토샵 사진 없애기 방법 알파채널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첫번째로 편집하고자하는 이미지 파일을 불러옵니다.

고치기 전 사진을 불러와야겠죠?

바로 레이어탭 옆에 있는 채널탭을 클릭해줍니다. RGB 채널과 Red 채널, Green 채널, Blue 채널 총 4개의 채널이 나옵니다.

4개의 채널 모두에 눈이 켜져 있지만 첫번째 RGB 채널의 눈 모양 탭을 클릭하면 레이어를 숨기게 되는데

그아래의 Red 채널 눈을 클릭해서 활성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흑백모드로 바뀌게 됩니다.

 

다음은 Red 채널을 닫고 Green창을 활성화 시키고 ,Blue 채널을 차례로 켜서 활성화 시킵니다.

모두 흑백이미지지만 이미지의 색상 정보에 따라서 흑백의 대비가 약간씩 다른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세 사진을 비교해 봤을때 Red 채널의 대비가 가장 크기 때문에 Red 채널이 작업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다른 이미지로는 보는사람들은 각자의 사진에서 흑색대비가 가장 큰 채널을 찾아보길 바랍니다.

 

 

2. Red 채널을 통해서 편집을 진행할 것이므로 일단 Red 채널을 복사합니다.

복사된 채널은 자동으로 알파채널화 됩니다.

복사하는 방법은 사진의 화살표 방향으로 Red 채널을 드래그 해도 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복사를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복사된 채널은 맨 아래에 위치합니다.

 

 

 

3.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알파채널 사용법 3번째 시간입니다.

복사한 Red 채널 ( 알파채널 )을 선택한 상태에서 이미지->조정->레벨로 들업갑니다.

단축키는 Ctrl + L이니 기억을 해둡니다.

사진에 표시된 3개의 동그라미안에 있는 작은 삼각형을 좌우로 왔닥 갔다 해보면 이미지의 명도가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작업을 하는 이유는 배경에 여전히 흰색이 아닌 부분이 있고 피사체와 배경의 경계가 불분명한 곳이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배경을 흰색에 가깝게 만들고 피사체는 검은색에 가깝게 바꿔주기 위한 것입니다.

 

하늘 배경같은 단순한 배경에 피사체가 있다면 손쉽게 조절해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배경을 완전히 하얀색으로 바꿔주기는 어렵기 때문에 되는 선에서 최대한 조절을 해봅니다.

본 예에서도 배경에 남은 그림자는 회색으로 남았기에 나중에 추가 작업을 예상하면 어쩔 수 없이 다음으로 진행을 합니다.

 

 

 

 

4. 이제 배경을 선택해서 영역지정을 하는일만 남았습니다.

당신이 작업하는 채널을 완전히 하얀색으로 바꿨다면 컨트롤키를 누른 상태에서 " 블루카피 " 채널의 씸네일을

클릭한다면 흰색부분을 모두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단 피사체의 안쪽에도 흰색이 있따면 같이 선택이 되므로

주의 해야 합니다.

 

배경을 하얀색으로 못만들더라도 실망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주 조금의 시간만 투자하면 위에 경우처럼 완벽하게 지정해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왼쪽 도구 상자의 " Magic Wand Tool "을 선택합니다.

한글판에서는 마법도구 정도 ?? 라고 생각하면 될듯 합니다.

그리고 배경의 흰색부분을 클릭하면 이어지는 흰영역을 모두 선택할 수 이씃ㅂ니다.

다음으로 선택되어야 하는데 아직 선택되지 않은 배경을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해 줍니다.

그런식으로 배경이 모두 선택될까까지 계속해 줍니다.

 

만약 선택 도중 어긋나거나 피사체까지 선택될 경우는 바로 " 컨트롤 + z " 를 눌러줘서 작업을 취소해 줍니다.

그리고 상단 옵션에 있는 tolerance를 조정한 다음 다시 쉬프트키를 선택합니다.

Tolerance는 값이 낮을 수로고 색의 구분을 좀더 명확히 판단해 주므로 미세한 부분을 선택해야

할때 이거나 색의 경계가 불분명한 부분을 선택해야 할때 숫자를 조금씩 낮춰가면서 작업을 이어 갑니다.

 

 

 

 

5. 선택 영역을 모두 선택했다면 레이어탭을 클릭해서 레이어로 돌아온후 사진의 레이어를 한번더 클릭해 줍니다.

선택영역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위에 예에서는 나중에 배경을 지웠을때 하얀색 배경을 두기 위해서 하얀색으로 채워진 배경 레이어를 따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6. 이제 포토샵 사진 배경 없애기 알파채널 사용법 마무리 할시간 입니다.

이제 마무리를 해줄 때로서 키보드는 2번만 더 클릭하면 완성이 됩니다.

딜리트키를 클릭한후 지금도 남아있는 선택 영역을 해제 합니다. 영역을 해지하는 단축키는 컨트롤 + D 이므로

이키를 기억해 둡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배경이 아니라 피사체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경우는 선택영역 반전을 통해서 피사체로 선택영역을 옯겨 줄 수 있습니다.

단축키는 컨트롤 + 쉬프트 + 영문자 아이 이며 [ selced ] - [ lnverse ] 메뉴를 클릭해도 됩니다.

 

Posted by 너네통닭
,